‘등비수열’은 번식처럼 늘어나는 수 – 기하급수의 위력
📈 ‘등비수열’은 번식처럼 늘어나는 수 – 기하급수의 위력 2, 4, 8, 16, 32…숫자가 커지는 게 너무 빠르다?이게 바로 등비수열, 일명 '기하급수'입니다. 수학에는 덧셈으로 커지는 수열(등차수열)도 있지만, 곱셈으로 폭발하듯 증가하는 수열이 있습니다.등비수열은 작게 시작해도 순식간에 엄청난 규모로 커질 수 있는 특성이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등비수열이 어떤 수열인지, 그리고 우리 일상 속에 어떻게 숨어있는지‘번식’, ‘확산’, ‘복리’와 같은 예시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등차수열 vs 등비수열 – 다른 성장 방식🔹 등차수열: 한 걸음씩, 규칙적으로등차수열은 같은 수를 더하는 수열입니다. 예:2, 4, 6, 8, 10… (공차 2)100, 90, 80, 70… (공차 -10)수식: aₙ =..
2025. 7. 25.
‘정수와 유리수’는 숫자의 층위 – 정리정돈의 시작
🔢 ‘정수와 유리수’는 숫자의 층위 – 정리정돈의 시작"수학이 어려운 건, 숫자가 너무 많기 때문이야…"그렇다면, 숫자를 정리해보면 쉬워지지 않을까요? 우리는 숫자를 볼 때 종종 '다 똑같은 숫자'라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수학에서는 숫자도 종류별로 나뉘고, 그 층위를 잘 정리하면 복잡했던 개념이 눈앞에 깔끔하게 정리됩니다.오늘은 ‘정수’와 ‘유리수’, 그리고 그 위에 얹히는 숫자들의 관계를 정리정돈의 관점에서 한번 풀어보겠습니다. 📁 숫자도 분류가 필요하다 – 자연수부터 유리수까지🔹 자연수 – 수의 시작은 1부터!우리가 처음 배우는 숫자는 보통 다음과 같죠. 1, 2, 3, 4, 5, … 이 숫자들을 자연수라고 부릅니다.“사과가 한 개, 두 개…” 이렇게 세는 수를 자연수라고 해요. 🔹 0은 언제 ..
2025.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