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8 지도 앱의 길찾기 – 좌표와 벡터의 여행 지도 앱의 길찾기 – 좌표와 벡터의 여행수학은 당신보다 빠른 길을 안다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에서 지도를 열어 목적지를 입력합니다.그러면 단 몇 초 만에 앱은 이렇게 말하죠: “도보 13분, 자동차로 5분 거리입니다.” 이건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서 엄청난 계산의 결과입니다.앱이 마법처럼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 그 순간,우리 눈에 보이지 않게 수학이 쉴 새 없이 달리고 있어요. 이 글에서는 좌표, 거리 계산, 최단 경로 알고리즘이어떻게 당신을 빠르게 목적지로 데려다주는지,쉽고 재미있게 풀어보겠습니다. 1. 지도 속 나의 위치, 수학에겐 좌표 하나지도 앱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건 현재 위치입니다.스마트폰은 GPS를 통해 나의 위치를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로 표시해요.예를 들어:📍 .. 2025. 8. 9. 적금 계산은 등차수열 – 매달 모으는 돈의 수학 💰 적금 계산은 등차수열 – 매달 모으는 돈의 수학“수열은 통장의 친구입니다.”1. 매달 똑같이 모으는 돈, 그걸 뭐라고 부를까?한 달에 10만 원씩 적금에 넣는다고 가정해 봅시다.1개월: 10만 원2개월: 20만 원3개월: 30만 원 …12개월 뒤엔? “그냥 10만 원 × 12개월 = 120만 원 아니야?” 맞습니다. 이건 아주 단순한 계산이죠.하지만 만약 적금을 넣을 때마다 이자가 붙는다면 얘기가 조금 달라집니다.게다가 매달 넣는 돈이 점점 늘어난다거나모으는 기간이 수년이 된다면, 우리는 훨씬 더 체계적인 계산이 필요하죠.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바로 수열입니다.특히 등차수열이요.2. 등차수열이란? – 같은 간격으로 늘어나는 수수열(sequence)이란 어떤 규칙에 따라 나열된 수들의 모음입니다.그 .. 2025. 8. 8. QR코드 속 수학 – 0과 1의 마법 QR코드 속 수학 – 0과 1의 마법수학으로 메시지를 접었다 펴는 퍼즐 요즘 QR코드, 안 써본 사람이 없을 거예요. 식당 메뉴판, 택배 상자, 영화 예매표,친구한테 연락처 보낼 때까지작은 네모 하나로 많은 걸 할 수 있죠. 그런데 혹시 생각해 본 적 있으세요?이 작은 네모 안에 도대체 어떻게 정보가 들어 있고,왜 찢어지거나 더러워져도 인식이 잘 되는지? 사실 QR코드 안에는 수학의 마법이 숨어 있어요.이 글에서는 어렵지 않게, QR코드 속에 숨어 있는 수학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비유하자면, QR코드는 ‘수학으로 접었다가 펴는 메시지 퍼즐’ 같아요. 1. 0과 1만으로 만든 비밀 메시지QR코드는 사실 숫자들의 조합이에요.더 정확히 말하면, 0과 1만으로 이뤄진 아주 긴 숫자줄이죠.이걸 이진수라고 부릅니다.. 2025. 8. 7. 시간표는 함수표 – 시간을 넣으면 과목이 나온다 📘 시간표는 함수표 – 시간을 넣으면 과목이 나온다학교는 수학적으로 운영된다1. 함수가 뭐길래? – ‘입력 → 출력’의 관계수학에서 "함수(function)"라는 말만 들으면복잡한 기호와 수식부터 떠오르는 분도 많죠.하지만 함수의 본질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함수란, 하나의 입력값에 대해 하나의 출력값을 주는 규칙입니다. 수학 시간에 배운 함수의 대표적인 표현은 아래와 같죠:f(x) = x + 3f(2) = 2 + 3 = 5여기서 중요한 건 하나입니다:입력 하나에 출력이 하나만 나온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게 도대체 현실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놀랍게도 우리는 학교 다닐 때부터 함수와 함께 살아왔습니다.대표적인 예가 바로 ‘시간표’입니다!2. 시간표 = 함수표다 – 시간 넣으면 과목 나오는 구조학교 시.. 2025. 8. 5. 평균은 정말 공평한가요? – 평균의 함정 🎯 평균은 정말 공평한가요? – 평균의 함정“모두가 똑같이 1조각씩 먹었다고요?” 1. 평균이란 무엇인가 – 일단 정의부터 쉽게!수학 시간에 자주 들었던 개념, 평균(平均).시험 성적표에도, 연봉 협상에도, 건강 검진 결과에도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평균은 단순히 “전체를 더한 후 나눈 값”이죠. 공식으로 쓰면 이렇게 됩니다: 📘 평균 = 전체 합계 ÷ 개수 예를 들어 친구 4명이 피자 조각을 0, 0, 0, 4개 먹었다면:전체는 4조각인원은 4명평균은 4 ÷ 4 = 1조각“와, 모두 1조각씩 먹었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실제로는 한 명이 다 먹었고, 나머지는 굶었죠.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교훈을 얻습니다. 평균은 전체를 '균등하게 분배된 것처럼' 보이게 하지만, 실제 분포를 숨깁니다. 2. 평.. 2025. 8. 4. 비례는 요리 레시피다 – 간 맞추는 수학 🍲 비례는 요리 레시피다 – 간 맞추는 수학비율은 사실, 인생의 황금비율 1. 요리는 수학이다? 소금:물 = 1:5의 비밀“된장찌개 소금은 얼마나 넣지?”“레시피엔 1큰술이라는데, 양이 두 배인데 그냥 2큰술 넣으면 될까?” 요리할 때 가장 많이 고민하게 되는 것 중 하나가 간 맞추기입니다.레시피를 보고 요리할 때, 우리가 의식하지 않더라도 이미 비례식(비율)을 활용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어떤 레시피에서 “소금 1: 물 5”이라고 되어 있다면,기준 소금 1에 물은 5가 필요하다는 뜻이죠. 그럼 만약 재료를 2배로 한다면?소금:물 = 2:10이 되어야 간이 같습니다.이게 바로 비례 관계예요. ✅ 비례란?두 수가 일정한 비율(비)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관계A : B = C : D → A/B = C/D.. 2025. 8. 4.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