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수는 왜 ‘무리’한 숫자일까?
무리수는 왜 ‘무리’한 숫자일까?오늘은 중3에 처음 등장하는 무리수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2부터 π(파이)까지, 수학자들이 사랑한 이상한 수1. 나눌 수 없는 수가 있다? – 유리수와 무리수의 차이 우리가 초등학교에서 처음 배우는 수는 자연수입니다. 1, 2, 3, 4처럼 개수를 세는 데 쓰이는 수들이죠. 그러다 점점 커가면서 정수, 그리고 분수를 배우게 됩니다. 분수는 두 정수를 나눈 형태, 예를 들어 1/2, 3/4, 5/1 같은 수들을 말해요. 이처럼 두 정수의 비율로 표현되는 수를 ‘유리수(rational number)’라고 부릅니다.그런데,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나눠지지 않는 수’들도 존재합니다.예를 들어 √2(루트2), π(파이), e 같은 숫자들은 소수점이 끝없이 이어지며, 반복되지도..
2025. 7. 14.